프로그래밍(2)
-
케이스 스타일(Case Styles): 카멜식, 케밥식, 파스칼식, 스네이크식
TLDR; camelCase kebab-case PascalCase snake_case 다양한 프로그래밍 관습들이 있지만, 그 중 케이스 스타일(case styles)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. 프로그래밍을 할 때, 변수나 클래스명을 지을 때 보통 공백(" ")을 지우고 그 이름을 짓는다. 변수명을 지을 때 공백을 애초에 허용하지 않고, 띄어쓰기가 있을 경우 변수나 클래스 선언 때 의미가 복잡하거나 모호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. 하지만 변수나 클래스를 만들다 보면 두개 이상의 단어를 조합해 그 이름을 지으면 생기는 장점이 많다. 변수나 클래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가능해 코드를 쓰는 사람이나 읽는 사람 모두에게 유익하다. 하지만 공백은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프로그래머들이 내 놓은 다양한 해답 중 가장 자..
2019.10.31 -
정수의 자릿수 더하기
sum(int(digit) for digit in (str(n)) int(digit)을 더해줄 것인데, 문자열로 변환한 n에 속한 각 "digit"에 대해 int(digit)을 더해줍니다. 숫자 n이 있는데, 이를 문자열로 보면 각 자릿수가 문자열을 이루는 하나하나의 문자입니다. "dyslexia"라는 문자열을 예로 들면 "d", "y", "s", "l", "e", "x", "i", "a" 총 8개의 문자로 이루어져있습니다. 마찬가지로 n의 값이 1618이었다면 문자열로 변환한 n은 "1618"이 되고, 이는 "1", "6", "1", "8" 총 4개의 문자로 이루어져 있어요. 이것들을 순회하면서 쭉 더해주면 정수의 각 자릿수의 합을 구할 수 있어요.
2019.06.09